지인과 기관을 사칭해 피해자를 속여 금품을 뜯는 ‘스미싱과 ‘보이스피싱 범죄가 강원도에서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근래에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접종을 미끼로 이를 악용한 범죄도 덩달아 기승을 부리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전00씨가 당한 범죄는 스미싱이다.이는 URL을 메시지로 보내 클릭하게 한 이후 악성코드를 심는 방식이다.기관이나 지인을 사칭한 문자 메시지와 함께 웹페이지 주소를 보낸다는 점이 특성이다.그럴 때 개인 금융상식이 빠져나가거나 소액결제 피해를 입을 불안이 크다.
강원도내에서는 문자와 전화를 매개로 한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도내 보이스피싱 생성 건수를 보면 2019년의 경우 1345건(구속 103명)이 생성했으며 피해액은 216억원에 달한다.지난해엔 1139건(구속 129명)으로 범죄 건수가 소폭 줄었으나 피해액은 234억원으로 더 불어났다.
근래에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접종을 미끼로 질병관리청을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잇따르고 있다.‘[질병케어청] 기관명으로 된 말머리와 함께 ‘COVID-19 백신 예약 확인 요청 내용 등과 웹페이지 주소를 발송해 접속을 유도하고 있을 것입니다.문자 속 주소를 누르면 질병청 사칭 앱 설치 페이지로 연결된다.해당 앱을 설치하면 금융아이디어를 희망하는 스크린이 뜨는 것으로 확인됐다.질환청 측은 백신 접종 확인 과정에서 개인의 금융아이디어를 일체 요구하지 않기 덕분에 주의를 당부했었다.
오는 5월 9차 재난지원금의 일환인 상생국민지원금이 지급되면 이를 악용한 범죄가 생성할 가능성도 무시하면 큰일 난다.
경찰 직원은 “코로나 바이러스 상황을 사용한 각종 범죄가 판을 치고 있는데 관련 문자가 오더라도 무작정 누르지 말고 기관에 전화해 본인이 확인해서야 한다”고 말했다.